회원가입

변혁정치

> 변혁정치

전노협 건설을 향한 준비

 

정경원노동자역사 한내


 

△ 전노협 건설을 위한 전국노동자대회(1989.11.12. / 서울대)  

[출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전국 노동조합 대표자 500여 명은 19891122, 901월 전노협 결성과 이를 위한 창립준비위원회 결성, 그리고 전국노동자대회 개최를 결정했다. 1112일에는 전노협 건설을 위한 전국노동자대회6천여 명의 노동자들이 모인 가운데 열렸는데, 노동자들은 경찰병력의 원천봉쇄를 뚫고 한밤중에 5시간 동안 관악산을 넘어 대회를 사수했다. 서울대에 들어가지 못한 노동자 4천여 명은 거리에서 투쟁했다. 다음날에는 전국 12개 지역에서 보고대회를 겸해 전국노동자대회 원천봉쇄 항의 규탄대회를 열었다. 90년 전노협 결성 투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전노협창립준비위원회 결성

1217일에는 경희대 크라운관에서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창립준비위원회 결성대회가 열렸다. 창립준비위원회는 1990122일 전노협 결성을 공식 선언하고 준비위원장으로 단병호 전국회의 중앙집행위원장을 만장일치로 선출했으며 지역의 대표 11명을 부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준비위원회는 짧은 기간 동안 전노협 창립을 위한 조직화와 실무를 담당했다. 전노협 건설을 위한 사업을 보면, 전노협 원년맞이 송년회 및 신년회를 각 단위사업장이나 지역별로 개최하기로 했고, 이후 지역 업종별로 대의원대회 및 총회를 통해 전노협 파견대의원을 선출하고, 파견대의원 교육과 토론을 거쳐 22일 전노협을 창립하기로 했다. 1월에는 90년 임투를 위해 핵심간부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전노협은 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등장한 지도력을 전국적 지도부로 성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조직을 건설해나간 것이다.

창립준비위원회 운영위원들과 지역의 간부들은 강령·규약소위, 조직소위, 대외협력소위, 재정소위를 가동했다. 강령·규약소위는 전노협의 기본입장을 11개 강령시안으로 확정하고 지역별로 대중적인 설명회와 토론회를 진행해 창립 전인 111일 대의원대회에 상정할 강령안을 확정했다. 조직소위는 창립대회까지 전국을 순회하며 지역·업종협의 대의원대회에 참여하고 전노협 파견대의원 간담회를 조직했다. 아직 전노협 창립준비위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조직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대외협력소위는 정권과 자본의 이념공세 및 탄압에 맞서 각 민주세력과의 연대투쟁을 호소하며 전노협지원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했고 재정소위는 건설기금 마련에 박차를 가했다.

 

조합원들은 전노협을 자기 조직으로 느끼고 있다.”

전노협 건설 계획은 조합원들의 참여를 이끌며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인노협을 필두로 서노협, 마창노련 등 전 지역의 노조들에서 조합원 1인당 5천 원 모금 방침이 결의되었고 전노협 기금 마련을 위한 일일찻집, 물품판매, 보너스의 1% 적립하기 등 다양한 방식의 활동이 이어졌다. 서노협의 중원전자, 한국슈어프로덕츠, 태광하이테크, 한국KDK 노조 등에서는 특별기금 마련을 위해 조합원들이 직접 판매사업을 벌였다. 창립준비위원회는 전노협 건설 기금 16억 원 마련을 위한 수첩, 달력, 일지 판매사업을 벌였고 두 달 만인 1월 중순 수첩 6만 부, 달력 23천 부, 일지 62백 부를 판매했다. 조합원들은 전노협을 나의 조직으로 느끼며자발적인 참여를 이어갔다.

전노협 결성이 다가오자 자본과 정권의 탄압과 좌경용공 매도는 극에 달했다. 단병호 창립준비위원장과 마창노련 의장직무대행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이 발부되었고 전노협 핵심 간부에 대한 수배령이 떨어졌으며 광노협 의장과 사무처장은 구속되었다. 자본과 정권은 무노동무임금 원칙 고수, 경영권과 인사권 수호를 외쳤다. 이를 관철하기 위해 한국경영자총협회·대한상공회의소·전국경제인연합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 경제단체가 모여 1223일 전국경제단체협의회(경단협)를 만들었다. 전노협에 대응하기 위한 자본의 기구가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노동자들의 전노협 건설 의지는 확고했다. 정권이 지도부 구속 등으로 전노협 건설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면 전국적 총파업, 단위사업장 지도부의 현장 단식 농성 돌입을 결의하기도 했다.

전노협 건설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여론은 노동자들에게 우호적이었다. 한국방송공사가 서울대 사회학과 부설 인구 및 발전문제연구소에 의뢰하여 실시한 국민의식조사에서 전노협 결성을 지지하는 비율이 전면 동의 15.3%, 동의 47%로 나타났다. 경기침체의 원인을 묻는 항목에서 38.9%의 응답자가 기업의 책임을 들었고 10.3%가 노동자 책임을 들었다. 노사분규 책임소재도 56.2%의 응답자가 고용주 측에 있다고 해 노동자 책임을 꼽은 7.5%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노동자들이 전국조직을 건설하고 전노협이 전 민중의 지도 조직으로 서는 것이 자본과 정권에는 매우 위협적인 것이었으니 이후 전노협은 건설과 동시에 조직 사수투쟁을 벌여야 했다.

© k2s0o1d6e0s8i2g7n. ALL RIGHTS RESERVED.